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어린이집지원

함께 키우고 함께 웃는 행복 육아실현

어린이집 평가제

  • Home
  • 어린이집지원
  • 어린이집 지원
  • 어린이집 평가제

평가 운영체계

2024 개정평가 지표

구분 평가제 2024 개정 평가제
평가지표
  • 4영역, 18지표, 59항목
  • 정량평가(N/Y)
  • 구조적 지표(보육환경 등) > 과정적 지표(보육과정 등)
  • 6영역, 15항목
  • 정성평가(서술형)
  • 구조적 지표(보육환경등) < 과정적 지표(보육과정 등)
평가절차
  • 평가대상통보 → 기본사항 확인 및 자체점검 → 현장평가 → 종합평가
  • 평가대상통보 → 자체평가 → 현장평가 → 종합평가
평가결과
  • 평가등급 제공 (A, B, C, D)
  • 영역별 서술형 결과지 제공
평가주기
  • A, B등급 3년 / C, D등급 2년
  • 3년
사후관리
  • 사후방문·확인점검
  • 최하위 등급 조정
  • 연차별 자율관리 및 컨설팅
  • 재평가

결과공표

통합정보공시 홈페이지(www.childinfo.go.kr)를 통해 평가결과를 공개합니다.

  • (공표시기)평가결과 및 최종통보일 익일
    ※ 서술형 평가결과서 포함
  • (공표 내용)평가상태, 평가결과, 공표일 이전 10년 동안의 평가 이력

구분 공표 내용
  • 평가를 받은 어린이집
    ※ 평가제 개편 시행(‘24.7.3.) 전 평가결과를 유지 중인 경우 포함
평가완료
  • 신규평가 진행 중인 어린이집 (평가대상 통보 후 평가 결과발표 전)
평가중
  • 영유아보육법 제30조제4항에 따른 재평가 대상인 어린이집
법 제30조 제4항에 따른 재평가 예정
  • 영유아보육법 제30조제4항에 따른 재평가 진행 중인 어린이집
법 제30조 제4항에 따른 재평가 중

※ 신규 개원으로 평가 대상으로 선정되지 않은 어린이집은 평가정보 공표 내용 없음

‘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셀프모니터링’이란?

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셀프모니터링(이하 ‘셀프모니터링’)은 보육교직원이 스스로 보육과정 실행과 운영 사항을 점검하며 전문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웹기반 자가진단 프로그램입니다.
즉, 교사와 원장의 지식과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보육과정 실천 지식을 쌓도록 도와주는 지원 자료입니다.

셀프모니터링 이용 방법

  • 홈페이지(www.kcpi.or.kr/self)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합니다.
  • 하위범주 중 궁금한 것을 (순서에 관계없이) 자유롭게 선택합니다.
  • 하위범주에 제시된 실천사항에 응답한 뒤 ‘제출’ 버튼을 눌러 멘토링을 확인합니다.

※ 셀프모니터링은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보육 실천의 변화를 위해서는 1학기당 1회(연간 2회) 실행을 권장합니다.

셀프모니터링의 구성

원장용
영유아 권리 존중 보육
  • 01. 영유아 권리 존중 보육 하기
  • 02. 영유아의 배움 이해하기
  • 03. 영유아의 놀이 이해하기
  • 04. 영유아의 놀이 지원하기
  • 05. 교사의 역할 이해하기
  • 06. 일상생활 지원하기
  • 07. 연간 보육계획 수립하기
영유아 사이의 소통 존중
  • 08. 보육교직원 존중하기
  • 09. 권리 존중 보육 협의하기
  • 10. 보육과정 실행 협의하기
  • 11. 소통 지원 협의하기
  • 12. 놀이 지원 협의하기
  • 13. 운영평가 실행하기
  • 14. 교사 성장 지원하기
놀이 지원
  • 15. 부모 존중하기
  • 16. 부모와 소통하기
  • 17. 지역사회와 소통하기
  • 18. 초등학교 연계하기(*유아반 해당)
교사용
영유아 권리 존중 보육
  • 01. 개별 특성을 지닌 고유한 존재로 인정하기
  • 02. 민감하고, 주의깊게 대하기
  • 03. 따뜻하고 부드럽게 대하기
  • 04. 기다리기
  • 05. 격려하기
  • 06. 풍부한 감성 공감하기
  • 07. 영유아의 말, 행동, 생각 등을 인정하기
  • 08. 긍정 언어 사용하기
  • 09. 차별하지 않기
영유아 사이의 소통 존중
  • 10.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기
  • 11. 또래 간에 놀이를 공유하도록 격려하기
  • 12. 스스로 약속과 규칙을 만들고 지키도록 격려하기
  • 13. 다툼이나 문제를 또래와 함께 해결 하도록 격려하기
놀이 자료와 공간 지원
  • 19. 놀이자료 지원하기
  • 20. 교실 공간구성하기
놀이 지원
  • 14. 놀이의 자유로움 알기
  • 15.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놀이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
  • 16. 충분한 놀이 시간 제공하기
  • 17. 영유아의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기
  • 18. 놀이와 연계되는 활동 지원하기
관찰과 기록을 통한 배움 이해
  • 21. 영유아 놀이 관찰과 보육일지 기록하기
  • 22. 영유아의 배움 이해하기
  • 23. 보육일지 활용하기
일상생활 지원
  • 24. 편안하게 생활하기
  • 25. 즐겁게 먹기
  • 26. 정리 정돈 이해하기
보육 계획 수립
  • 27. 인간상, 목적, 목표 연계하여 계획 수립하기
  • 28. 영유아의 흥미와 요구, 놀이 반영하여 계획 수립하기